편향 없이 뉴스 읽기

Observer.

한국 정부, 日 사도광산 추도식 2년 연속 불참…'강제성' 표기 이견

보도

요약

  • 정부는 사도광산 추도사에 ‘강제성’ 표현을 명시하지 않는 일본 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일본 주최 추도식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
  • 정부는 유가족과 별도로 자체 추도식을 열 계획이며 일본의 전향적 입장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 대통령실은 아쉬움을 표하며 과거에 일본이 인정했던 '강제성' 표현이 빠진 점과 일본 내부 정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주요 발언

정부 관계자

한국인 노동자가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노역했다는 게 절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한 것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강제성이라는 용어는 15년 전만 해도 일본이 인정하기도 했던 용어

외교부 당국자

핵심 쟁점에 대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고 결국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이르게 됐다

언론 보도 방식

  • 조선일보 : 정부 입장(강제성 표현 미반영으로 인한 불참 결정)과 향후 대응 계획(한국 자체 추도식) 및 일본에 대한 기대(전향적 입장 변화 촉구)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등재·전시물 문제 등 배경 설명을 통해 외교적 원칙과 절차적 요구를 강조한다.
  • 중앙일보 : (⚠️ 냉소적) 정부의 ‘투 트랙’ 외교 기조를 배경으로 삼아 일본의 태도 불변과 한국 외교의 한계를 함께 짚는다. 추도사 문구 문제와 함께 행사 일방성·외교적 준비 미흡 등을 진단해 양국 관계의 구조적 난제를 강조한다.
  • 동아일보 : 정부의 불참 결정과 그 배경(추도사에 ‘강제 노역’ 표현이 담기지 않은 점)을 중심으로 구체적 협의 경과와 지난해 상황(야스쿠니 참배 이력 참석자 등)을 함께 짚으며 정부의 자체 추도식 계획과 시간적 제약을 부각한다. 정부 관계자 발언을 상세히 인용해 사실관계와 절차적 측면에 초점을 둔 보도다.
  • 한겨레 : (⚠️ 냉소적) 역사적·윤리적 의미를 강조하며 강제동원 사실의 서술과 이를 둘러싼 한·일 간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보도한다. ‘과거를 직시’해야 한다는 문구와 함께 반쪽 행사의 문제성을 부각하고 정부의 입장과 유감 표명을 자세히 다룬다.
  • 경향신문 : (⚠️ 냉소적) 일본의 여전히 ‘강제성’ 부인하는 태도를 강하게 지적하고 ‘반쪽 추도식’이라는 표현으로 문제의 불완전성을 강조한다. 정부의 투 트랙 외교 속 과거사 문제의 한계를 진단하며 일본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는 점을 부각한다.
  • 오마이뉴스 : (⚠️ 냉소적) 대통령실 발언과 정부의 유감 표명을 부각하며 ‘강제동원’ 표현 배제에 대한 문제점을 강조한다. 정부의 아쉬움 발언을 인용해 일본 측의 문자적 인정 부재를 문제화하고 국내정치 영향 가능성까지 짚는 등 정치적·인권적 관점을 강조한다.